본문 바로가기

여러 이야기

주휴수당! 개념부터 계산법까지 완벽 정리!

주휴수당이 뭐지? 개념부터 계산법까지 완벽 정리!

 

 

알바나 단기 근로를 하면서 ‘주휴수당’이라는 말을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하지만 정확히 무엇인지, 언제 받을 수 있는지 헷갈리기 쉬운데요. 오늘은 주휴수당의 개념부터 지급 기준, 계산 방법까지 아주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은 일정한 조건을 갖춘 근로자에게 유급으로 쉬는 날에 대해 지급되는 수당입니다.
즉, 주 15시간 이상 일하고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일을 하지 않은 날에도 하루치 임금을 추가로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 쉽게 말해: 성실히 일하면 "하루 공짜로 쉬어도 돈은 준다"는 제도!

 

 

 

📋 주휴수당 지급 요건

주휴수당은 모든 알바생이나 비정규직 근로자가 받는 것은 아니고,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 1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
  • 1주 동안 개근(빠지지 않고 출근)

※ 근로계약서를 썼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위 요건을 충족하면 법적으로 주휴수당을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 주휴수당 계산 방법

주휴수당 계산은 간단합니다.
[1주 동안의 일일 근로시간] × [시급] = 주휴수당

예시 1)
주 5일, 하루 4시간씩 근무 / 시급 9,860원

주휴수당 = 4시간 × 9,860원 = 39,440원

예시 2)
주 6일, 하루 8시간 근무 / 시급 10,000원

주휴수당 = 8시간 × 10,000원 = 80,000원

※ 주휴수당은 매주 주어지는 것이 원칙이며, 월급제인 경우에도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월급제도 주휴수당 받을 수 있나요?

네! 다만, 많은 경우 주휴수당이 기본급에 포함된 형태로 지급됩니다.
따라서 월급을 받고 있다면 근로계약서에 주휴수당이 따로 표기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주휴수당 꿀팁

  • 주휴수당은 일하지 않아도 주는 유급휴일수당입니다.
  • 계약 종료 시점에도 요건을 충족하면 주휴수당 청구 가능
  • 미지급 시, 고용노동부에 신고 가능 (직접 해결 어려울 경우 1350 상담)

 

🧮 주휴수당 자동 계산기 추천

노동부 홈페이지나 서울노동권익센터 등에서 제공하는 '주휴수당 계산기'를 활용하면 더욱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검색창에 주휴수당 계산기라고 입력하면 다양한 도구들이 나오니, 내가 정확히 얼마 받아야 하는지 직접 계산해보세요!

 

 

마무리하며

주휴수당은 알바생이나 일용직 근로자에게 꼭 필요한 권리입니다.
혹시 지금까지 받지 못했다면, 정당하게 요구할 수 있습니다.
근로기준법은 모두를 보호하기 위한 법이라는 점, 꼭 기억해주세요!

 

📌 더 궁금한 점은 고용노동부 고객센터(☎ 1350)나 가까운 근로자 지원센터에 문의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