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 먼데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일반적으로 '사이버 먼데이' 같은 할인 행사일을 떠올릴 수도 있지만, 주식시장에서는 전혀 다른 의미로 사용됩니다.
블랙 먼데이(Black Monday)는 주가가 급락하며 금융시장이 대혼란에 빠졌던 월요일을 말하며, 특히 1987년 10월 19일을 가리키는 말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 블랙 먼데이의 정의
블랙 먼데이(Black Monday):
주식시장에서 역사적인 주가 폭락이 발생한 월요일. 주로 1987년 10월 19일을 지칭하지만, 그 이후로도 큰 폭의 하락이 있던 월요일에 이 용어가 확장적으로 사용됨.
📆 1987년 10월 19일, 무슨 일이 있었나?
▪️ 당시 상황 한눈에 보기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하루 만에 -22.6% 하락
- 전 세계 동반 하락: 미국 외에도 영국(-26%), 홍콩(-45.5%), 호주(-41.8%) 등 주요 증시가 폭락
- 단일 하루 최대 낙폭 기록 (현재까지도 깨지지 않음)
▪️ 원인은 무엇이었을까?
- 프로그램 매매(Program Trading)의 폭주
→ 컴퓨터 기반 매매 전략이 자동으로 대량 매도를 일으켜 시장이 붕괴 - 과도한 밸류에이션
→ 주가 상승에 대한 거품 우려가 컸던 시점 - 금리 인상 우려와 무역 적자 확대
→ 당시 미국의 금리 정책과 재정 적자가 시장에 악영향 - 시장 심리의 패닉 확산
→ 한 번 시작된 매도가 공포심으로 이어지며 악순환
🌎 왜 전 세계가 함께 무너졌을까?
- 미국 금융시장 영향력
→ 당시에도 이미 미국 증시는 전 세계 금융의 중심 역할 - 금융 글로벌화 초기 국면
→ 글로벌 투자자금의 이동이 시작되며 외국 시장도 동반 충격
🔍 이후 변화와 대응
항목 변화 내용
시장 안정화 장치 도입 | '서킷 브레이커(Circuit Breaker)' 제도 도입 |
컴퓨터 매매 규제 | 알고리즘 거래 감시 강화 |
위기 대응 매뉴얼 구축 | 미 연준(Fed)과 주요 금융기관 간의 위기 대응 프로토콜 마련 |
💡 서킷 브레이커란?
주식시장이 급변할 때 일시적으로 거래를 정지시키는 제도. 블랙 먼데이 이후 시장 과열 및 패닉을 막기 위한 장치로 채택되었습니다.
또 다른 블랙 먼데이들은 아래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 그 이후에도 있었던 '작은 블랙 먼데이들'
날짜 설명
2008년 9월 29일 | 리먼브라더스 사태 → 다우존스 -777.68포인트 하락 |
2020년 3월 9일 | 코로나19 팬데믹 초기 충격 → 글로벌 증시 급락 |
2022년 6월 13일 | 미국 CPI 발표 후 긴축 우려 → 기술주 중심 폭락 |
📊 블랙 먼데이에서 우리가 배워야 할 점
- 투자에는 리스크가 반드시 따른다
- 공포 속 기회는 존재한다
→ 1987년 이후 시장은 빠르게 반등하며 회복 - 분산 투자와 장기 전략이 중요하다
- 정책 대응과 제도적 안정장치의 필요성
✍ 마무리하며
블랙 먼데이는 단순한 증시 하락이 아닌, 금융 시스템의 구조적 문제와 투자 심리의 복합적인 결과였습니다. 하지만 그런 위기를 통해 시장 스스로 진화하고, 투자자도 배워나갑니다.
오늘날에도 급락장이 올 수 있지만, 제도적 보완과 투자자의 준비가 있다면 블랙 먼데이는 다시 오더라도 그 충격은 덜할 수 있습니다.
주식 투자자라면, 역사를 공부하는 것이 미래를 준비하는 첫걸음입니다.
'여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전자재조합기술 GMO의 모든 것 한눈에 정리! (0) | 2025.04.12 |
---|---|
퇴직금 못 받았을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퇴직금 미지급 대처법 완전 정리 (0) | 2025.04.11 |
아르바이트(알바) 할 때 꼭 챙겨야 할 것! 근로계약서 작성 시 주의사항 총정리 (0) | 2025.04.11 |
일본여행 숙박세부터 관광세까지 여행 준비 전 필독! 한눈에 정리 (0) | 2025.04.10 |
주휴수당! 개념부터 계산법까지 완벽 정리! (0) | 2025.04.10 |
탄저백신 국산화 성공! 생물테러 대비 강화 (0) | 2025.04.09 |
기후동행카드의 모든 것 (청년, 구매, 충전) (0) | 2025.04.08 |
교통비 절약 꿀팁! K-패스 완전 정리 (0) | 2025.04.08 |